8월, 2024의 게시물 표시

2024년 여름 코로나19 재유행 전조증상 및 실제증상 조심하세요(경험담, 후기)

이미지
이번 글은 저의 실제 경험담을 중심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최근 코로나19가 다시 재유행하고 있다는 뉴스를 접했을 것입니다. 이번 코로나19는 오미크론 하위 변종인 KP.3(케이피쓰리) 라고 합니다. 초기 증상은 냉방병, 감기와 흡사한 콧물, 재채기, 소화불량, 피로감, 권태 등이라고 합니다. 의심되실 경우 바로 약국이나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2024년 여름 코로나19 재유행 증상 코로나19 전조증상(경험담, 후기) 올해는 다른해에 비해 유난히 무덥습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에어컨을 틀지 않으면 견딜수 없는 날씨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8월초쯤부터 몸이 피곤하고 아침에 일어나려 하면 몸이 너무 무겁고 힘들고 가끔씩 얼굴에 열이 확 올랐다가 내리곤 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뭐지.. 뭐지.. 냉방병인가' 속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다가 8월 6일 잠을 자려는데 기침이 나고 목에 실같은 것이 걸린 것처럼 답답했습니다. 그래서 물을 마시고 잠을 청했습니다. 그리고 다음날도 아침에 일어나려는데 몸이 무겁고 피곤하고 힘들었습니다. 그러면서 하루가 더 지났습니다. 밤에 잠을 자려는데 또다시 사레들린것 처럼 목이 답답하고 기침이 났습니다. 다시 물을 마시고 잠을 청했습니다.(8월 7일 밤) 그리고 다음날 아침 출근을 했는데, 갑자가 목소리가 허스키해지고 확 갔습니다. 주변사람들로부터도 목소리가 이상하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목에 가래가 생겼고 기침도 조금 났습니다. 열을 없었습니다. 그래서 안되겠다 속으로 생각했습니다. 이건 냉방병도 아닌것 같고 감기도 아닌것 같고 혹시 코로나인가 의심이 갔습니다. 바로 약국으로 가서 코로나19 검사키트를 구입하고 검사를 해봤습니다. '두줄.. 아..' 진짜 코로나에 걸린거였습니다.(8월 8일) 바로 검사키트 검사지를 들고 동네병원을 찾았습니다. 검사키트를 보여주고 코로나에 걸린것 같다하니 간호사가 열체크를 하더니 열은 없네요. 검사는 안하셔도 될 것 같다고 하네요. 순간. 엥.. 검사안하나....

가정상비약 같은 우황청심환 효능 및 성분 정리

이미지
어느날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하거나 놀라는 일이 발생하게 되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진정이 안될때 우황청심환을 찾게 됩니다. 따라서 우황청심환은 상비약처럼 집에 한두개는 예비로 마련해 두는데요. 예전에는 금박으로 싼 알약을 먹었다면 최근에는 박카스처럼 마시기 좋게 물약으로 나와 있어 편리합니다. 그리고 우황청심환을 먹게 되면 신기하게 마음이 가라앉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동안 신기하게만 여겼던 우황청심환.. 이제는 알고 먹고 먹는 것은 어떨지요? 알고 먹는 것과 모르는 먹는 것은 확실히 다를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먹어도 되는 사람, 주의해야 하는 사람도 분명 있을테니까요. 이에 우황청심환의 효능과 성분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황청심환 효능 및 성분 우황청심환(원)이란? 얼마전 이웃집 할아버지가 화장실에서 넘어져 하늘나라로 가게 된 일이 있었습니다. 이웃집 할머니는 소리쳐 저를 불렀고 제가 119에 전화를 해서 119 구급대원들이 와서 심폐소생술을 했음에도 할아버지는 연세가 높아 그만 하늘나라고 가게 되었습니다. 이 일후 저와 이웃집 할머니는 놀란 마음을 진정시키고자 청심환을 나눠 먹은 일이 있었습니다. 그처럼 우황청심환은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해 당연히 먹어야 되는 것처럼 인식이 되어 있습니다. 과연 그게 맞는 일일지 궁금하기도 해서 우황청심환에 대하여 낱낱이 살펴보고자 합니다. 우황청심환 역사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은 송나라 의서 <태평혜민화제국방>기록에 최초로 나온다. 우리말로 풀면 '마음을 맑게하고 안정시키는 알약'이라는 뜻이다. 또한 이의서에는 우황청심환은 뇌졸중, 반신불수, 현훈, 구음장애, 안면신경마비, 가슴두근거림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현훈이란 가끔 눈앞이 아찔아찔하여 별이 보이면서 어지러운 증세 로 현기(眩氣), 두훈(頭暈), 어지럼증, 어질증라고도 하는 증상을 말한다. 우황청심환(원)에 들어가는 약재 예전 고서 및 동의보감의 기록에 의하면 우황청심환원은 원래는 우황, 사향, 서각, 인삼, 용뇌, 대두...

삼성 갤럭시 바탕화면 메뉴 설정 변경하는 방법

이미지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은 삼성 갤럭시와 애플 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여태 삼성 갤럭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삼성이 20%, 애플이 18%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만 보면(2023년 기준) 삼성 73%, 애플25%이며, 기타 샤오미, 모토로라 등 나머지 휴대전화 점유율은 2%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이에 우리 국민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는 삼성 스마트폰인 갤럭시 바탕화면에 있는 기본 메뉴를 살펴보고 설정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합니다. 삼성 갤럭시 바탕화면 메뉴 설정 갤럭시 바탕화면 아이콘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바탕화면 아이콘은 아래 그림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그리고 배치도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맨위 왼쪽 상단에는 SKT, U+ 등 통신사 및 시간이 표시되고 있습니다. 오른쪽에는 Wi-Fi 또는 모바일 네크워크 상태인 5G, LTE 등이 표시되고 밧데리 충전량이 표시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배경화면에 아이콘이 보입니다. 갤럭시 아이콘 삼성갤럭시 바탕화면 기본 메뉴 설정하기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메뉴들은 구입 시 매장에서 대부분 잘 설정해줍니다. 그러나 가끔씩 변경해야 할 필요가 생길때가 있습니다. 메뉴 변경이 필요할때는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갤럭시 스마트폰 상단 부분을 한번 드래그 했을때 변경할 수 있는 아이콘이 보입니다. 이중 오른쪽 설정버튼(톱니바퀴)를 클릭하면 스마트폰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 데이타 사용방법(와이파이 또는 모바일 데이타), 블루투스, 소리(또는 진동, 무음), 화면(세로 또는 자동회전), 비행기 탑승 모드, 손전등)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보입니다. 와이파이(Wi-Fi)/모바일 데이터 선택 블루투스 소리/진동/무음 선택 세로/자동 회전 선택 비행기 탑승 모드 손전등 한번 드래그 했을때 보이는 아이콘 두번째는 갤럭시 스마트폰 맨위 상단 시간 및 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