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내연금(예상수령액) 알아보기, 예상연금 모의계산

국민연금은 사회보장제도의 하나로 노후에 필요한 생활자금을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은 공무원, 직장인, 자영업자 등은 의무가입이며, 이에 해당하지 않은 분들이라도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든 임의가입도 가능합니다.

또한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는 그동안 납입금액, 내연금(예상수령액), 수령나이 등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민연금 수령나이가 되었을때 나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내연금)은 얼마가 되는지 살펴보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국민연금 내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내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내연금 인증없이 간단하게 알아보기

국민연금 내연금(예상수령액)을 알아보는 방법에는 인증없이 예상연금을 간단계산 방법으로 확인하는 방법과 공인인증을 통해 그동안 납입금액 및 수령나이 등 정확한 정보를 통해 확인방법이 있습니다.

정확한 예상연금액은 공인인증 후 '내 곁에 국민연금' 앱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증없이 간단하게 국민연금 예상연금 알아보기

국민연금은 10년(120개월)이상 납입해야 연금수령기 가능하며, 국민연금 예상연금 간단계산은 월 납입 보험료를 입력하고 조회하는 서비스입니다. 또한 예상연금 간단계산에는 예상연금 모의계산 및 예상연금 간단계산 등 두가지가 방법이 있습니다.



국민연금 모의계산
국민연금 모의계산, 간단계산


❥ 예상연금 모의계산 결과보기

예상연금 모의계산은 소득 및 가입기간은 입력하여 예상연금액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 모의계산에서도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예상액을 인증없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나이 만30세(1994/1/1 출생), 월소득 200만원으로 가정해서 입력해 보았습니다.

이경우 앞으로 국민연금을 납입가능한 연수는 30년이며, 예상소득상승률은 5%로 가정했습니다. 국민연금 최초 가입년월은 2024년 1월, 최종 납입년월은 2054년 1월입니다.

노령연금 수령은 만65세인 2059년 2월부터 이며 현재가치 기준 월 751,500원(연 9,018,000원) 수령이 가능하며, 물가상승률 연 2.0%, 전체 평균소득상승률 4.4%가 매년 상승한다고 가정하여 계산한 미래가치 연금수령액은 월 3,621,170원(연 43,454,040원)으로 결과치가 나왔습니다.



내연금 예상수령액 계산 결과 확인
국민연금 모의계산 결과



❥ 예상연금 간단계산 결과보기

이번에는 연금납입액을 기준으로 한 예상연금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납입금액은 25만원(월소득 2,220,000원)이라고 가정하고 계산 보았습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노령연금(매월 지급예상액)은 10년 가입 263,710원, 15년 가입 393,940원, 20년 가입 524,170원, 25년 가입 654,410원, 30년 가입 784,640원, 35년 가입 914,870원, 40년 가입  1,045,100원 입니다.

만약의 경우를 가정한 장애연금(매월 지급에상액)은 장애 1급 546,960원, 장애 2급 437,570원, 장애 3급 328,180원, 장애 4급(일시금) 14,768,180원 입니다.

또한 유족연금(매월 지급예상액)으로 받게 될 경우 10년 미만 가입 218,780원, 10년~20년 미만 가입 335,610원, 20년 가입 444,600원 입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은 전체 가입자 소득평균액을 기준으로 산출된 예상금액입니다.


인증하고 국민연금 내연금 알아보기(공인인증 필요)

공인인증 후 알아볼 수 있는 내용으로는 만 60세 이후 받을 예상연금액, 장애, 유족 연금액 및 가입 납부내역 조회 및 가입납부내역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예상납부액 조회를 해보겠습니다.

인증방법에는 간편인증, 인증서, 카카오 페이 등을 통해 인증할 수 있습니다.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하고 예상연금액 보기를 통해 살펴보았습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 간편인증 방법
국민연금 홈페이지 간편인증 방법


그러면 국민연금 예상연금액은 매년 소비자물가변동률, 전체 가입자 소득수준, 본인가입이력 등에 따라 실제 수령 연금액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라는 안내문구 및 조회일이 나옵니다.

예상연급액 보기를 통해 예상 노령연금액, 연금 받는 시기, 예상 납부보험료, 예상 납부월수, 예상 가입기간 등 좀 더 정확하고 자세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내연금 알아보기를 통해 나의 노후설계는 잘되고 있는지 좀더 자세히 살펴보는 계기가 되시길 바랍니다.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조회하는 방법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조회하는 방법


 국민연금 내연금 알아보기 바로가기


결론

2024년 국민연금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연금중 노령연금 수급자의 절반은 월 40만원 이만의 연금을 수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수급자중 노령연금 평균 수령액은 62만원(61만 9,715원)에 불과하며, 수급자는 671만만 6,97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9월말 기준 국민연금 가입자수는 2,225만 411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10년 이상 납입한 사람이 지급개시 연령이 도달하면 매달 연금을 받게 됩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1인가구 한달 평균 소비금액은 155만원으로 월세, 수도세, 전기세, 식료품 등 기초생활에 필요한 최소금액은 46만 9천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2인 가구 평균 생활비는 332만 2,420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서 부족한 생활비를 보충하기 위해 미리미리 노후대책을 위해 국민연금을 준비하는 것은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 함께 보면 좋은글 입니다.

2024년 기초연금 지급액(단독가구, 부부가구) 및 신청방법,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인이 마늘을 좋아하는 이유는? 마늘이 가진 효능/효과 정리

블로그스팟(Blogspot, 구글블로그) 카테고리 만들기(에센셜 테마 기준)

블로그스팟(Blogspot, 구글블로그) 초기 설정 하는 방법